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3)
plcc 카드 종류 및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현재 국내 카드 업계에서 plcc 카드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plcc 카드란 금융 서비스회사나 유통회사가 카드사와 계약을 맺고 혜택을 주는 카드입니다. 2015년 현대카드와 이마트가 함께 선보인 업계 최초의 PLCC가 있었는데요. 그 이후로 plcc 카드는 꾸준히 늘어났고 2019년 8종, 2020년 11종이 출시되며 올해에도 다양한 카드들이 나왔습니다. 그렇다면 최근 몇년 사이 왜 이렇게 plcc 카드들이 많이 출시되는 걸까요? 최근 다양한 기업들과 카드사가 함께 신용카드를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단 기업들과 카드사가 서로의 영역으로 진출하고 싶어 합니다. 기업들은 카드사가 보유하고 있는 오프라인 고객들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끌어낼 수 있습니다. ..
GS리테일의 큰 그림? GS리테일 요기요 인수 추진 및 모바일 플랫폼에 적극적인 행보 국내에서 이커머스 시장 규모가 상당히 커지는 중입니다. 그러면서 기존 이커머스 기업들인 옥션, 11번가 등은 존재감이 적어지는 반면, 쿠팡 네이버 마켓컬리 등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이커머스 기업간의 합병 및 투자 유치 등 앞으로는 더욱 더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이 가운데 GS리테일의 경우도 변화를 꾀하는 듯합니다. GS리테일의 올해 2분기 실적이 공개되는데요. 매출의 경우는 2조 2천856억 원으로 소폭 늘었으나 영업이익률은 3.4%에서 1.83%로 감소합니다. 그리고 영업이익은 80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7% 줄어드는데요. GS리테일의 경우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에서 편의점 사업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70%입니다. 편의점 부문의 경우는 성장이 정체되어있죠.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한 시점에서 GS..
많은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이행하고 있는 esg 란, esg 경영 알아보기 esg 란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칭입니다. 그동안에도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노력을 했죠. 2016년에는 파리 기후변화 협정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환경이슈들을 미디어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에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을 볼 수 있었습니다. 세계기상기구(WMO)가 발표한 세계 기후상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한 해는 2016년, 2019년처럼 역대 가장 중 한 해로 기록됩니다. 지구 평균 기온이 1.2도나 높았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는 그동안에는 자연에 영향을 끼쳤으나 이제는 그로 인한 심각성을 사람들도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지구 평균 온도 2도를..
토스와 카카오뱅크 양강구도, 핀테크 기업 뱅크샐러드의 하반기는? 올 하반기 핀테크 기업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히 높습니다. 카카오뱅크는 IPO를 앞두는 중이며 토스는 토스뱅크 출범을 앞두고 있죠. 케이뱅크의 경우 최근 흑자로 전환하기도 했는데요. 핀테크 기업들이 각자 마이데이터 사업에 맞춰서 변화를 꾀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카카오뱅크와 토스 양강 구도가 굳건해지는 모습입니다. 두 기업의 mau는 꾸준히 천만을 넘고 있는데요. 한편, 자산관리 앱으로 뱅크샐러드가 있습니다. 출시 이후 4년 만에 누적 다운로드 850만 명을 넘어섰는데 하반기는 어떤 행보를 보일지 알아보았습니다. 카카오뱅크는 꾸준히 새로운 카드, 대출 상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토스 앱은 증권 서비스로 기존 2030 세대는 물론 다른 세대들까지 이용 층이 확대되는 중입니다. 반면 지난달 뱅크샐러드의 MAU는 7..
늘어나는 골프인구 골프 정보를 빠르게 공유하는 골프 커뮤니티, 볼메이트의 특징 2020년 골프 인구는 515만 명으로 전년 대비 46만 늘어난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골프존 인구 분석에 따르면 3년 이하의 신규 골프 입문자 중 20~40세대가 65%로 젊은 층의 골프 시장 유입이 크게 늘어났다고 하는데요. 골프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여러 기업들도 MZ세대를 위한 골프 용품, 서비스 등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골프 커뮤니티, 볼메이트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골프 커뮤니티 볼메이트는 작년 6월 베타 서비스를 한 이후 15만 명의 골퍼가 다운을 받았고 누적 라운딩 모집 14만 건을 기록하는데요. 무엇보다도 2020년 대비 가입자 275% 늘어났고 라운딩 모집 건수 372% 증가했으며 일 라운딩 모집 140건 이상을 기록합니..
국내 여행에 집중하는 마이리얼트립 렌터카 서비스까지 시작 국내 여행 스타트업의 대표주자인 마이리얼트립은 코로나19로 인해서 타격을 받는 듯했습니다. 비즈니스 자체가 해외여행에 집중했었는데 해외여행 자체가 어려워지자 위기를 받는 듯했죠. 하지만 빠르게 국내 여행으로 다시 변화를 주었습니다. 코로나19로 사람들도 국내 여행, 그 중에서도 제주도 여행으로 발길을 돌리는데 마이리얼트립도 이에 맞춰서 플랫폼에 변화를 주는 것을 물론 최근에는 렌터카 서비스도 시작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해서 제주도 여행을 가는 분들이 늘어났는데 제주도에서는 대중교통보다는 렌터카를 이용하는 것이 편한데요. 마이리얼트립의 경우도 이에 맞춰서 앱과 웹사이트에서 렌터카 탭에서 서비스를 보여줍니다. 마이리얼트립 렌터카 서비스는 렌터카 검색부터 예약까지 과정의 복잡함을 덜어주고 렌터카 자차 보험을 ..
클럽하우스를 대체할 오디오 플랫폼? 카카오 음 mm의 특징 알아보기 올해 상반기에 오디오 플랫폼인 클럽하우스에 대한 관심이 상당했습니다. 클럽하우스를 통해서 다양한 셀럽들이 참여했죠. 하지만 초대장이 필요한 폐쇄성을 비롯하여 여러 아쉬운 점들로 인해서 인기가 급하강하는 중입니다. 하지만 다른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오디오 플랫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오디오 플랫폼을 런칭합니다. 트위터의 경우 트위터 스페이스가 있긴 하지만 팔로우 수 600명일 경우 이용할 수 있는데요. 이처럼 오디오 플랫폼들의 경우 폐쇄성으로 인해서 초기에 바로 시작하기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6월 중에 베타 서비스를 진행한 카카오의 오디오 플랫폼 카카오 음 mm은 이와 달리 진입장벽을 낮추면서 주목받았습니다. 카카오 오디오 플랫폼, 카카오 음 mm은 일단 다른 오디오 플랫폼들에 비해서 사용방법이 간단합니다...
치열해지는 배달 앱 시장_배달의 민족 앱 개편과 단건 배달 확대 국내 배달앱 시장은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가 90% 이상을 차지했었죠. 하지만 여러 이슈 및 지난해 배달앱 후발주자들이 성장합니다. 국내 배달앱 시장 월간활성사용자 수를 보면 안드로이드 기준 배달의 민족 월간활성사용자 수는 지난 5월 1300만 명, 요기요는 약520만명, 쿠팡이츠는 약 350만 명이었습니다. 여전히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쿠팡이츠가 지난 6개월간의 성장세가 뚜렷합니다. 쿠팡이츠는 2020년 12월에는 약 195만 명 정도의 월간활성사용자수를 기록했는데 5월에는 350만 명 정도로 급성장을 한 것입니다. 쿠팡이츠의 급성장 속에서 배달의 민족도 긴장을 하고 있는데 최근 배달의 민족도 변화를 꾀하기 시작하는데 앱 개편과 단건 배달을 확대합니다. 배달의 민족은 11..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 티빙 보기 혜택, 패밀리 혜택 알아보기 국내 OTT 플랫폼들의 경쟁이 나날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매주 새로운 콘텐츠들이 업로드되고 있고 다양한 프로모션 등을 통해서 가입자가 늘어나고 있죠. 그중에서 국내 OTT 플랫폼 티빙도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닐슨코리아클릭 데이터 기준 티빙의 월간활성사용자수는 334만 명을 기록했는데 이는 2020년 10월 독립법인으로 출범한 후 110만 명 이상 늘어난 것입니다. 계속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티빙의 경우도 올해 막대한 금액을 콘텐츠에 투자하며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을 통해서도 볼 수 있게 됩니다. 또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는 패밀리 기능이 출시되면서 혜택이 강화됩니다.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의 디지털 콘텐츠 혜택은 티빙 방송 무제한 이용권, 웹툰 시리즈 쿠키 49개, 시리즈 온 영화 1..
신세계 이베이코리아 인수 유력, 이후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는? 코로나 19로 인해서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규모는 갈수록 커지고 있는데 2025년 270조 원까지 이를 정도로 그 규모는 상당해질 예정입니다. 미국에 경우는 아마존이 상당한 규모를 차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여러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합니다. 작년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보면 네이버가 17%, 쿠팡 13% 이베이 코리아 12% 11번가 6% 롯데온 5% 등이었습니다. 이처럼 네이버와 쿠팡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20% 이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이 국내에서는 없습니다. 이 가운데 이베이코리아의 매각 소식에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가졌죠. 신세계와 롯데의 대결로 좁혀진 가운데 어떤 기업이 인수할지 주목하게 되었는데 결국 신세계의 이베이코리아 인수가 유력한 모습입니다. 일단 이베이코리아를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