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산업 소식

(22)
2021년 2월 음원 스트리밍 앱 순위, 유튜브 뮤직의 급성장과 스포티파이의 등장 그동안 국내 음원 스트리밍 앱은 멜론이 독보적인 점유율을 보여왔습니다. 과반수 이상이 멜론을 이용해왔는데 2019년부터 음원차트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등 이슈가 있었습니다. 이와 함께 새로운 음원 스트리밍 앱들이 런칭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습니다. 지난해에도 멜론의 점유율이 이전보다 낮아진 가운데 지난 2월 음원 스트리밍 앱 순위는 어떨지 살펴보았습니다. 1)멜론 2021년 2월 한 달간 가장 많이 사용한 음악 스트리밍 앱은 멜론으로 이용자가 510만 명이었습니다. 여전히 국내 많은 분들이 멜론을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2)유튜브 뮤직 음원 스트리밍 앱 2위로는 유튜브 뮤직으로 261만 명이었습니다. 유튜브 뮤직은 유튜브 프리미엄을 통해서 새롭게 이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셨고 1년 전에 사용자가 122만 명..
20조원 규모로 성장한 국내 중고거래 시장, 롯데의 중고나라 인수 소식 국내 중고거래 시장이 계속해서 규모를 키워가는 가운데 지난해 빠르게 성장을 합니다. 기존 플랫폼뿐 아니라 중고거래 앱을 통한 거래가 나날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국내 중고거래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2008년 4조 원에서 2020년 20조 원으로 빠르게 커졌습니다. 특히, 중고거래를 할때 중고거래 앱을 통한 거래가 상당히 늘어났는데 2021년 기준 중고거래 앱 이용자 수는 1,432만 명이었습니다. 와이즈앱·와이즈리테일에 따르면, 가장 많은 사람이 사용한 중고거래 앱은 당근마켓으로 2020년 1월 한 달동안 1,325만 명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번개장터 284만 명, 중고나라 74만 명 순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제는 중고거래하면 당근마켓, 이라는 것을 바로 연상하게 할 수 있는 가운데 다른 중고거래 앱 ..
이베이 코리아 인수 이후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네이버, 쿠팡 그리고 이베이코리아가 삼강 구도에 나머지 기업들이 경쟁을 펼치는 중입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와이즈리테일에 따르면, 지난 2월 네이버가 2조 8,056억 원, 쿠팡 2조 4,072억 원, 이베이코리아 1조 6,106억 원, 배달의 민족 1조 4,776억 원, 11번가 1조 288억 원, SSG.COM 4,596억 원, 티몬 4,242억 원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네이버는 '네이버 페이', 쿠팡은 '로켓 배송'이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하여 빠르게 성장을 이어가고 있죠. 그러나 이베이 코리아의 경우 기존의 G마켓, 옥션, G9 등 오픈마켓이 있으나 성장이 침체되었습니다. 그래도 이베이 코리아는 여전히 국내에서 꾸준히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이베이 코리..
올해도 이어지는 넷플릭스의 상승세, 2021년 2월 국내 OTT 플랫폼 순위는? 올해도 OTT 서비스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올해는 기존 OTT 서비스들과 함께 쿠팡 플레이, 디즈니 플러스 등의 서비스들로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는데 2021년 2월 OTT 플랫폼 순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1년 2월 국내 OTT 플랫폼 순위 1위는 넷플릭스였습니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집콕 생활에 늘어감에 따라서 국내 이용자가 크게 늘어났었죠. 올해도 그러한 상승세를 이어갑니다. 2021년 2월 넷플릭스의 월 사용자수는 약 1,000만명였습니다. 이는 지난해 1월(4,704,524명) 대비 113% 증가한 것입니다. 올해 넷플릭스는 국내 콘텐츠에 5천 억원이 넘는 규모의 투자를 계획 중이고 최근 선보였던 온라인 컨퍼런스를 통해서 올해 기대작들을 미리 만나볼 수..
2020 쿠팡 실적, 적자 폭을 줄이면서 올해 쿠팡 상장 등 규모를 더 키워가다 국내에서 빠르게 규모를 키워가고 있는 쿠팡은 매년 매출은 늘어나면서도 영업이익 적자였죠. 하지만 2019년 매출이 7조 원대, 영업적자는 증가폭이 줄어듭니다. 그리고 2020년에도 실적이 개선이 이어집니다. 쿠팡의 지난해 매출은 13조2000억원으로 2019년에 비해서 91% 정도 증가합니다. 영업손실은 2019년 7200억 원에서 지난해 5800억 원으로 줄어든 것입니다. 그동안 쿠팡이 국내에서 규모가 큰 이커머스 기업으로 발돋움했으나 매년 큰 적자 폭에서 아쉬움이 들었죠. 하지만 2019년부터 영업이익이 줄어들면서 앞으로 쿠팡을 더 주목하게 되는데 앞으로도 쿠팡의 실적 상승세는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국내 이커머스는 시장은 매년 꾸준히 성장해왔고 지난해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 쇼핑 및..
작년에 선전을 펼친 이마트 실적, 네이버 이마트 지분 교환 의미는? 작년 한 해는 코로나 19로 인해서 오프라인 매출 비중이 높았던 기업들의 타격이 상당했습니다. 국내 유통 전통강자인 이마트의 경우도 코로나 19로 인해서 상반기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이마트는 코로나 19라는 큰 변수 속에서도 선전을 펼칩니다. 2020년 이마트 매출은 매출이 22조330억원으로, 2019년보다 15.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400억 원으로, 전년보다 57.4%나 늘어납니다. 이마트의 경우 오프라인 매출 비중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체질 개선 등으로 변화를 꾀하면서 지난해 실적이 돋보였습니다. 한편 이마트는 SSG 닷컴을 통해서 온라인 매출 비중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SSG 닷컴의 경우 2020년 총거래액이 3조9천236억원으로 1년 새 37% 증가합니다. 영업적자는 20..
중고거래 직거래 앱 당근마켓 이제는 커뮤니티로 변화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더하다 중고거래를 이용하시는 분들이 매년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중고거래 서비스들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PC 기반의 중고나라 카페를 많이 이용했지만 현재는 당근마켓, 헬로마켓, 번개장터 등의 중고거래 앱이 등장하면서 나날이 성장했습니다. 특히 당근마켓의 성장세는 작년 한 해 돋보였습니다. 당근마켓은 2015년 출시했는데 작년 한 해 동안 전국 6577개 지역에서 지역 주민들을 1억 2000만 회 연결했고 1230만 명의 월간 사용자 수를 기록합니다. MAU가 천만 이상을 기록하는 앱은 흔치가 않죠. 이 가운데 중고거래 선호도 증가 속에서 당근마켓은 직거래 플랫폼으로 기존 중고거래 문제점을 해소해나가면서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였습니다. 한편, 최근에 중고거래 직거래 앱 당근마켓은 점차 커뮤니티 형..
새로운 숏폼 플랫폼 인스타그램 릴스와 유튜브 쇼츠의 특징 알아보기 현재 인스타그램의 경우 사진을 기반으로 한 소셜미디어로 전 세계적으로 이용자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오디오 기반의 클럽하우스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 최근 몇년 사이 가장 큰 성장을 한 것으로 틱톡이 있죠. 15초라는 짧은 동영상으로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현하는 것으로 전 세계적인 숏폼 플랫폼으로 거듭났습니다. 틱톡은 2020년 7월 기준 월 이용자수가 8억 8917만 명으로 빠른 성장세가 돋보였습니다. 그러면서 숏폼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아졌고 이에 맞춰서 숏폼 플랫폼들이 다수 등장합니다. 여러 플랫폼들이 있지만 가장 주목해야할 숏폼 플랫폼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인스타그램 릴스는 틱톡과 유사하게 15초~30초 정도 짧은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는 숏폼 플랫폼입니다. 국내에서는 올해 2월 선보인 것으로 인스타그램..
2조원에 인수되는 하이퍼커넥트, 하이퍼커넥트의 아자르 앱과 하쿠나 라이브 알아보기 국내에 다양한 IT기업들이 성장하고 있고 인수되고 있습니다. 1조 원 이상의 가치를 지닌 유니콘 기업들의 인수 및 피인수 소식은 매년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2019년에는 국내 배달앱 1위인 배달의 민족이 딜리버리 히어로 코리아에 인수된다는 소식은 엄청난 화제였습니다. 최근에는 아자르 앱을 만든 하이퍼커넥트가 세계적인 소셜 앱들을 운영 중인 매치 그룹에 2조 원대에 인수가 된다는 소식도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하이퍼커넥트는 어떤 기업인지 정리해보았습니다. 하이퍼커넥트는 글로벌 영상 앱인 아자르 앱을 운영하고 있는 IT 스타트업입니다. 글로벌 메신저 아자르 앱은 국내보다 세계적으로 이용자가 많습니다. 아자르 앱은 230국에서 19가지 언어로 1억 명 이상이 사용 중이며 누적 다운로드 횟수가 5억 40..
내면의 성장을 함께 하는 자아성장 플랫폼 밑미(meet me) 최근 몇년 사이에 자기계발을 위한 플랫폼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신의 커리어의 성장을 위한 플랫폼은 물론 취미생활을 위한 플랫폼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클래스101 등의 플랫폼이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플랫폼이 생겨나고 커지고 있죠. 최근에는 밑미(meet me)라는 플랫폼도 빠르게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밑미(meet me)는 자아성장 큐레이션 플랫폼으로 밑미의 미션은 진짜 나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연결되는 건강하고 행복한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입니다. 번아웃/스트레스, 관계, 휴식/쉼, 자기탐색 등의 카테고리 별 프로그램 및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자기계발, 취미생활보다는 내면의 성장을 추구하는 프로그램들이 많습니다. 글을 쓰면서 자신을 알아가고 영감을 수집하고 치유하..